728x90
가설검정 Statistical Hypothesis Test
증명되지 않은 주장이나 가설을 표본통계량에 입각하여 진위여부를 판단, 증명, 검정하는 통계적 추론 방식
귀무가설 Null Hypothesis
- 직접 검정대상이 되는 가설 H0
표본을 관찰하고 세운 가설이며, 증명된 바 없는 주장이나 가설이다.
진실이 가능성이 적기 때문에, 옳다는 가정하에 이것이 옳지 않음을 증명한다.
Reject
대립가설 Alternative Hypothesis
- 귀무가설에 대립되는 가설 H1
귀무가설이 기각될 때 받아들여지는 가설
새로운 주장이나 실제로 입증하고픈 가설로, 옳다는 것을 증명한다.
Accept
귀무가설을 표본을 통해 확인하고, 기각이 되면 자동으로 대립가설이 채택 된다.
임계값 Critical Value
- 가설을 채택하는지 기각하는지 기준점
주어진 유의 수준 Level of Significance에서 귀무가설의 채택과 기각의 기준이 되는 값
유의 수준 Level of Significance
- 귀무가설이 실제 옳지만 기각되는 오류의 확률 a
P(X>=k)<=a 인 k값을 찾아야 한다.
표준 정규확률변수로 변환
- 검정통계량
X를 Z로 변환하고 Z값이 Za보다 큰지 검토한다.
- Z>Za 귀무가설 기각
- Z<=Za 귀무가설 채택
H0 True | H0 Fault | |
H0 Accept | 옳은결정 (1-a) True Positive | 제 2종 오류(b) False Negative |
H0 Reject | 제 1종 오류(a) False Positive | 옳은결정(1-b) True Negative |
검출력을 높일 때
- a값을 크게
- 분산을 작게
- n을 크게
-
가설 검정의 단계
- H0 H1 설정
- 유의수준 a설정
- 검정통계량 계산
- 기각역 또는 임계값 계산
- 주어진 데이터로부터 유의성 판정
728x90
'Mathematics for ai > 확률 통계학 Statis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트로피 Entropy 자기정보 Self-information (0) | 2021.12.18 |
---|---|
검정 모평균의 검정 (0) | 2021.12.18 |
추정 Estimation 모비율의 추정 (0) | 2021.12.17 |
모평균의 추정 점추정 Point Estimation 구간추정 Interval Estimation (0) | 2021.12.17 |
표본분포 Sampling Distribution (0) | 2021.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