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jango
Django는 파이썬으로 만들어진 무료 오픈소스 웹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web application framework)이다.
쉽고 빠르게 웹사이트를 개발할 수 있도록 돕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웹 프레임워크
장고는 웹 개발에서 번거로운 요소들을 새로 개발할 필요 없이 내장된 기능만을 이용해 빠른 개발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장고는 파이썬으로 코딩한 모델을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해주는 모델(Model), HTTP 요청을 처리하는 웹 템플릿 시스템인 뷰(View), URL의 라우팅을 처리하는 URL 컨트롤러 (Controller) 로 구성된 MVC 디자인 패턴을 따른다.
전통적인 MVC 디자인 패턴에서 이야기하는 컨트롤러의 기능을 프레임워크를 자체에서 하기 때문에 모델(Model), 템플릿(Template), 뷰(View)로 분류해 MTV 프레임워크라고 보기도 한다.
모델
모델은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담는다. 데이터에 대한 접근, 검증, 작동과 데이터 사이의 관계를 정의하는데, 일반적으로 각각의 모델은 데이터베이스에서 테이블에 해당한다.
장고에서는 모델을 정의할 때 필드의 종류를 지정해줘야 하는데, 이것이 데이터베이스에게 컬럼 타입을 알려주고 HTML 폼으로 표시 될 때의 입력 타입도 내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장고의 폼 자동 생성 API를 이용할 때 데이터 검증에 쓰이기도 한다.
뷰
어떤 데이터가 표시될 것인지를 정의한다. 뷰는 HTTP 응답(response)를 반환해야 하며 응답의 종류는 웹 페이지, 리디렉션, 문서 등의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장고에는 자주 사용되는 형태의 뷰를 패턴화하여 추상화 해둔 재사용 가능한 뷰들을 내장해 놓았는데, 이들을 제네릭 뷰(generic view) 라고 하며 원하는 제네릭 뷰를 상속한 클래스 뷰를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템플릿
데이터가 어떻게 표시되는 지를 정의한다. 템플릿은 사용자에게 실제로 보여지는 웹 페이지나 문서를 다룬다.
흔히 HTML 에 기반해서 템플릿을 만들며, HTML 에 동적인 요소를 추가하기 위해 파이썬의 일부 기능을 쓰게 도와주는 장고 템플릿 태그가 존재한다.
내장 애플리케이션
장고에는 아래와 같은 웹 개발에서 자주 쓰이는 애플리케이션이 'contrib' 패키지에 내장되어있다.
- 확장가능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 동적 관리자 인터페이스
- RSS 또는 아톰을 위한 피드 생성
- 사이트맵 생성
- 사이트 간 요청 위조(CSRF), 사이트 간 스크립팅(XSS), SQL 인젝션과 같은 해킹 시도에 대한 보안 대책
장고 (웹 프레임워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른 뜻에 대해서는 장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장고(Django, FAQ 발음으로는 "쟁고"(IPA: [ˈdʒæŋgoʊ])[2])는 파이썬으로 작성된 오픈 소스 웹 프레임워크로, 모델-뷰-컨트롤러(MVC) 패턴을 따르고 있
ko.wikipedia.org
'Python Framework > Django'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ML 문법 (0) | 2022.01.04 |
---|---|
Django sqlite3 db 오류 발생시 (0) | 2022.01.04 |
Django 프로젝트 앱 만들기 (0) | 2022.01.03 |
Django 파일 설명 (0) | 2022.01.03 |
Django 가상환경 설치 (0) | 2022.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