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ilorCat
카테고리
작성일
2021. 12. 28. 19:10
작성자
sailorCat
728x90

클라우드 이전에는 인터넷 환경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서비스 호스팅에 필요한 모든것을 구축했다.

 

데이터 센터 (물리적 공간)

서버, 저장소

네트워크 방화벽, 보안

운영체제와 기타 개발도구

전기, 온도, 습도관리

운영관리 인력

 

서버를 직접구축하고 운영하는 자원과 인력비용이 크고 운영상황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가 어렵다.

 

 

 

 

회사나 조직이 직접 모든것을 하지 않을 수 있는 IDC가 등장

IDC

-Internet Data Center

- 서버운영에 필요한 공간 임대

서버 임대를 통해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비용을 줄이지만, 일정기간 임대를 하는 유연성이 떨어지는 구조이다.

 

 

 

 

인터넷 사용자가 증가하며 필요한 서버를 증설하기 위한 온디맨드 수요 증가

접속량이 늘어나면 오토 스케일링 필요

사용하지 않는 유휴자원은 비용을 줄이

필요한 운영체제나 소프트웨어를 미리 설치 

 

클라우드 컴퓨팅

- 언제 어디서나 필요한 컴퓨팅 자원을 인터넷을 통해 활용할 수 있는 방식

- 아마존 2006에 저장공간 및 연산 자원 제공 서비스인 S3와 EC2를 개시하면서 등장

 

AWS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에서 컴퓨팅 파워, DB 저장공간, 앱 빛 기타 IT자원을 필요에 따라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고,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한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속도, 접근성, 확장성, 생산성, 보안 및 안정성, 측정 가능성의 장점을 가진다

 

속도 

- 주문형 셀프 서비스, 제공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하지 않음

접근성

-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의 위치, 시간과 관련없이 어떤 디바이스로도 접근 가능

확장성

- 이용량 증가와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며 추가 확장이 가능

생산성

-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설치에 들어가는 시간과 비용 절감

보안, 안정성

- 클라우드 공급자가 전체적인 보안과 안정성에 대해 준비

측정가능성

- 사용자가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만큼만 계량하여 과금

 

 

하이브리드 Hybrid - 고객의 핵심 시스템은 내부에 두면서 외부의 클라우드를 활용하는 형태
- IT 기술은 클라우드에서 받고 서비스 유지를 위한 인프라는 고객의 것을 혼용한다
- 퍼블릭의 경제성과 프라이빗의 보안성을 고려
프라이빗 Private - 고객이 자체 데이터 센터에서 직접 클라우드 서비스를 구축
- 내부 계열사나 고객에게만 제공하여 인프라 확충은 쉽지만   IT 기술확보가 어렵다
- 보안이 좋고 커스터마이제이션 가능, 글로벌 클라우드 사업자가 IT 기술만 패키지 형태로 만들어서 판매
퍼블릭 Public - 서비스 유지를 위한 모든 인프라와 IT기술을 클라우드에서 사용
- AWS, GCP, Azure와 같은 외부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자가 인터넷을 통해 자원을 제공
- IT관리 인력이나 인프라 구축 비용이 없는 경우 유용

멀티클라우드, 분산형 클라우드 .. 여러 클라우드 시스템이 등장하고 있다.

 

 

 

728x90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EC2 생성  (0) 2021.12.28
AWS 제공 분야  (0) 2021.12.28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모델 on-premises IaaS PaaS SaaS  (0) 2021.12.28
AWS App integration patterns  (0) 2021.10.28
AWS for resilient apps  (0) 2021.10.28